Test-Driven Development
-
TDD - 2부 xUnit 간단 정리JAVA 2022. 6. 27. 01:38
2부 xUnit 예시 간단 정리 xUnit 페이지를 공부하면서 이 정도는 알아둬야 겠다 하는 내용에 대해 간단히 정리 TDD를 마스터하면 훨씬 큰 기능 단위로 작업할 수 있게 되지만 TDD를 마스터 하기 위해서는 필요할 때 작은 단계로 작업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. AAA 패턴 준비(arrange) - 객체 생성 행동(act) - 어떤 자극을 준다 확인(assert) - 결과 검사 이전에 공부했을 때는 주로 .net 진영에서 많이 쓰는 패턴으로 보였다. Java 진영에서는 Given/When/Then 패턴을 많이 쓰는 것으로 보인다.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객체 생성 제약 성능 여러테스트에서 같은 객체 사용한다면 객체 하나만 생성 격리 다른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테스트 마다 각 객체 생성 테스트 ..
-
TDD 17장. Money 회고 요약 및 정리JAVA 2022. 6. 27. 01:21
17장. Money 회고 요약 및 정리 메타포 어떤 메타포를 선택하느냐 → 완전 다른 방식의 설계 내가 지금까지 작성한 모든 프로그램을 20번씩 다시 작성해 본다면 어떨까?매번 새로운 통찰을 얻고 놀라움을 경험할 것인가? 더 신중을 기해서 모든 통찰을 세 번 안에 다 얻어낼 방법이 있을까? 아니면 한번에? 왜 자신이 짠 코드를 다시 짜면 더 잘 짤 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지 더 와 닿는 부분이다. JUnit 사용도 실행 버튼을 정확히 125번 눌렀다. … 보통 일분에 한 번 정도 테스트를 실행했다. TestCode가 없었다면 과연 몇번이나 테스트를 할 수 있었을까? TestCode만 있다면 테스트를 수행하는 건 너무나도 간단하기 때문에 수 없이 많은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한다. TestCode는 개발자의 ..